메모리 반도체 값이 두 달째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아직은 현물가격 하락에 그치고 있지만 고정가격과 현물가격의 차이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현물가격 하락
17일 반도체 시장조사업체 디램익스체인지에 따르면 6월 현재 PC에 가장 많이 쓰이는 DDR4 8GB 현물가격이 2.91달러까지 내려왔다. 지난해 11월 수준이다. 지난 4월7일 전고점이었던 3.64달러와 비하면 20% 가까이 하락했다. D램 현물가격이 두 달 연속 하락세를 이어가며 회복세를 보이던 메모리반도체 업황이 침체로 돌아설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현물가격은 소비자가 시장에서 반도체를 직접 구입할 때의 값이다. D램 중 90%는 고정가격으로, 10%는 현물가격으로 거래돼 양은 많지 않으나 고정거래 가격을 예측할 수 있는 선행지표’역할을 한다. 2016년 D램 사이클이 회복기에 접어들 때도 현물가격이 먼저 올랐다. 일부 업체들은 D램 가격 인하를 요구하면서 재고 확대를 미루고 있다고 한다.
가격 하락의 이유
반도체 가격 하락은 지난 4~5월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북미, 유럽의 유통채널 영업 중단 여파로 D램의 재고가 일시적으로 증가했기 때문이란 분석이 지배적이다. 지난 1분기 메모리 반도체는 코로나19 영향에도 불구하고 다른 업종 대비 상대적으로 피해가 적었다. 오히려 온라인 교육, 재택근무, 화상회의 등이 늘어나면서 서버 확대 수요가 함께 늘어나 ‘코로나 특수’를 누렸다. 서버에는 대용량의 메모리 반도체가 들어간다.
아직 DDR4 8Gb D램의 5월 평균 고정거래가격은 3.31달러로 5개월 연속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현물가격 하락 추이가 계속된다면 고정거래가격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고정거래가격과 현물가격간 격차는 계속 커지고 있다. 흐름이 계속된다면 올 3분기 D램 고정거래가격이 하락할 수도 있다, 이미 투자수요가 줄고 있기도 하다. 페이스북·아마존·애플 등 메모리 반도체 기업들의 올해 시설투자액 전망치는 당초 943억달러에서 919억달러로 조정됐다.
밝지 않은 전망
시장에서는 미중 무역분쟁이 다시 시작되면서 중국 화웨이의 메모리반도체 수요가 줄어들 수 있는 것도 악재로 본다. 화웨이는 최근 2년 동안 삼성전자의 5대 매출처 중 하나다. SK하이닉스 입장에서도 중국 내 최대 고객사가 화웨이다. 현물가격 하락세가 고정거래가격 하락으로 이어진다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올 하반기 실적은 전망치를 달성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물론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 등 반도체 업체들의 공급조절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에 급락을 전망하는 시각은 많지 않다.
다만 시장에서는 올 하반기에 반도체 가격 상승을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삼성전자의 1분기 반도체 실적을 뒷받침해온 서버용 D램의 경우 고정거래가격이 143.1달러로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